Zoominsk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Zoominsky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Zoominsky
    • 먹고마시고
    • Booklog
    • 음식인문학
    • 세계맛집
    • 다니고여행
      • 영국
      • 하와이
      • 뉴질랜드
      • 발리
      • 일본
      • 태국
      • 중국
      • 제주
      • 국내
    • 스마트 마케팅
    • 디지털가젯
    • 세상만사
    • 짠이갤러리
    • 사진 세상
      • Landscape
      • Image
      • Portrait

검색 레이어

Zoominsk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독서메모

  • 변화

    2021.02.09 by 푸드라이터

  • 본회퍼의 신앙고백

    2020.11.11 by 푸드라이터

  • 잠언 말씀

    2020.01.06 by 푸드라이터

  • 중동의 유래

    2019.11.05 by 푸드라이터

  • 입력된 정보에 지배되는 생각

    2019.09.09 by 푸드라이터

  • 꿀을 만드는 과정

    2019.07.17 by 푸드라이터

  • 스시의 경제학

    2019.07.16 by 푸드라이터

  • 부자 인생

    2019.07.10 by 푸드라이터

변화

간디께서 말씀하신다. 너 자신의 변화만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세상을 탓하지 말고 스스로 먼저 돌아보아야겠습니다.

Booklog 2021. 2. 9. 14:19

본회퍼의 신앙고백

예전에 엄청난 혁명으로 시작된 기독교가 이제는 모든 시대에 대해 보수적이어야 할까요? 그리스도인은 논란이 될 만한 것도 말하는 위험을 감수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더 중요한 삶의 문제들을 드러내기 위하여. 출처 : 정말 기독교는 비겁할까 - 신앙고백 중에서 (디트리히 본회퍼 글 / 국제제자훈련원 펴냄)

Booklog 2020. 11. 11. 15:20

잠언 말씀

불의하게 살면 세상에서 끊기고 신용 없이 살면 뿌리가 뽑히고 만다. (잠언 2:22)

Booklog 2020. 1. 6. 23:28

중동의 유래

그리고 유럽인들은 이슬람 세력을 유럽에서 몰아내기 시작했다. 1683년 그리스도교 연합군이 빈을 침공한 오스만제국을 손쉽게 무찌른 뒤 이슬람 세력은 급속도로 위축되기 시작했다. 이후 유럽과 같은 종교 경전을 읽고 한때 고대 그리스 문명의 유일한 상속자였던 아랍은 유럽이 아니라 아시아로 규정지어졌다. 산업혁명 이후 영국이 쓰던 중동 middle east 이라는 단어는 애초 극동 far east의 비교급 명사였지만 아랍을 지칭하는 보통명사가 되었다. 이슬람 제국의 적자였던 오스만제국에 '야만', '타락' 따위가 덧칠되기 시작한 것도 이때다.(음식경제사 중, 권은중 지음 중)

Booklog 2019. 11. 5. 20:28

입력된 정보에 지배되는 생각

베스트셀러라는 포노사피엔스를 보고 있다. 그 가운데 최근의 사태와 관련해 인사이트를 얻는 글을 찾았다. 사람들의 생각은 입력되는 정보에 좌우된다는 것이다. 즉, 보는 것에 따라 생각은 만들어진다는 것. 그러면.. 이런 문제가 생긴다. 만약 입력되는 정보가 잘못된 정보라면? 그럼 그 사람의 생각은 당연히 잘못된 생각 아니겠는가? 인터넷에는 온갖 정보가 뒹굴고 있습니다. 그 정보의 가치는 빠름에 있습니다. 예전에는 정보의 가치가 빠름 이전에 정확함에 더 비중이 컸죠. 그러나 지금은 정확 아니 바른 정보의 가치는 더 이상 아닙니다. 이제는 정보가 생각 넘어에서 조정되고 만들어집니다. 그게 더 무서운거죠.. 사람들의 생각과 방향을 이끌기 위해 이제는 정보가 조작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늘 정보가 탄생하면 그 올바..

Booklog 2019. 9. 9. 08:48

꿀을 만드는 과정

꿀은 인류의 역사에서도 아주 오래된 음식이며 재료입니다. 벌이 존재한 것이 인류보다 더 오래되었고, 꿀을 먹기 시작한 기록은 약 8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지금도 꿀은 인공으로 만들 낼 수 없습니다. 당연히 인공으로 만든 것은 꿀이 아니죠. 벌이 직접 채취하고 그들의 입을 거쳐 다양한 효소와 혼합되면서 분해되어야 진정한 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맛은 우리 음식에서 굉장히 중요한 맛입니다. 그런데 그 단맛을 만들어내는 재료는 엄청나게 많죠. 하지만 단맛은 건강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더 건강한 단맛을 찾기 마련이죠. 비교적 다른 단맛에 비해 꿀은 건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 꿀 공부를 좀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공부를 하려고 보니 자료가 그다지 많지는 않네요..

음식인문학 2019. 7. 17. 13:31

스시의 경제학

스시는 문화적으로 고급음식이라는 인식이 강하고, 경제적으로 비싼음식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비싸죠.) 일본 사람은 원래 고기를 잘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런 식문화에서 간신히 어류를 먹기 시작한 것도 얼마되지 않았는데 어류의 특징이 쉽게 상하는 것이죠. 그래서 일본에서는 우리처럼 회도 활어로 먹지 않고 선어(숙성회)로 주로 먹고 있죠. 이게 아주 오래된 시절에 날이 습하고 따뜻했던 일본적인 지역적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자신들 나름의 방법이었던 것 같습니다. 위에 있는 스시에 대한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스시에 대한 정의는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일본에서 그들끼리 소박하게 먹던 스시라는 음식이 글로벌화가 되면서 돈과 권력 그리고 사람과 릴레이션을 규정하는 커다른 문화적 코드가 되었다는 것..

음식인문학 2019. 7. 16. 12:08

부자 인생

강인욱 선생의 새책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을 다 봤습니다. 몇 번에 걸쳐 좋은 글을 나누기는 했지만, 책 말미에 나오는 이 말씀이 화룡점정처럼 마음에 남았습니다. 내가 참 속물처럼 살아왔구나를 돌아보게 됩니다. 내가 살아 있음을 허락하는 공기도 공짜이고, 아침을 깨우는 상쾌한 아침 햇살도 공짜고, 막걸리를 생각나게 해주는 보슬비도 공짜고, 내 마음에 사랑도 공짜고, 내 눈에 예뻐 보이는 들꽃도 공짜인데.. 그걸 제대로 고마워하거나 누리며 살지 못하는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늘 부족하다고 생각해 더 가지려 아둥바둥 했던 인생. 강인욱 선생의 말을 되새겨보면 결국 우리가 태어날 때도 벌거숭이고 갈 때도 뭐하나 제대로 가져갈 수 없거늘 참으로 인상 쓰며 사는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좀 내려놓는다는 것. 욕..

Booklog 2019. 7. 10. 20:52

추가 정보

인기글

  1. -
    -
    고구마 맛탕과 빠스 (바스)의 차이

    2020.10.31 08:47

  2. -
    -
    벌꿀주, 허니와인, 미드(Mead)

    2020.02.26 11:39

  3. -
    -
    맛있는 핫도그 Hot Dog의 유래

    2020.12.04 08:59

  4. -
    -
    이베리코 베요타 등급 체계

    2019.07.22 00:29

최신글

  1. -
    -
    자유와 정의

    Booklog

  2. -
    -
    브랜드란?

    Booklog

  3. -
    -
    사랑의 힘

    Booklog

  4. -
    -
    헤어짐의 미학

    Booklog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Zoominsk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