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인문학

미친 듯이 먹을 것인가? 먹방의 사회학

728x90
반응형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블로그를 중심으로 맛집을 소개하는 것이 온라인에서의 먹을거리와 관련한 핫이슈였다. 그런데 유튜브가 등장하면서 좀 더 자극적인 요소들을 찾다 보니 그다음부터는 사람들은 상상하기 힘든 정도로 온갖 음식을 먹어 치우는 먹방이 유행하기 시작했고 그 바람이 좀처럼 꺼지지 않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먹방은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락부락한 산적 스타일에서부터 아주 작고 여성스러운 유튜버까지 그 먹는 양은 상상을 초월한다. 라면 한 박스도 금방 날아가고, 자장면 3그릇은 아주 귀여운 수준이다. 고기를 10인분 정도는 후딱 이다. 

 

온라인에서 이런 콘텐츠가 인기몰이를 하다 보니 공중파와 케이블TV에도 먹방은 이제 일상화가 되었다. 거대한 체구의 개그맨들이 온종일 먹는 모습을 보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더 나아가서 먹방 드라마까지 나올 정도였으니 먹는 것에 대한 국민적 집착을 인터넷이든 미디어든 잘 이용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그런 먹방이 과연 어떤 사회적 의미가 있을지 고민해봐야 할 때가 되었다. 유독 왜 대한민국에 이런 바람이 불었을까? 그리고 그 불이 쉽게 꺼지지 않을까? 그리고 이 바람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에 대해 심각한 수준으로 고민이 필요하다. 

 

비만과 먹는 문화에 미치는 영향력

 

이런 극도의 한계를 돌파하는 먹방은 우리에게 아무런 영향이 없을까? 통계 데이터로 확인해본 것은 아니지만, 정성적으로 생각해보면 일반 국민의 비만과 사람들의 먹는 스타일, 먹는 장사하는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누구나 생각해볼 수 있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 

 

아이들은 그런 먹방을 보며 입이 즐겁도록 많이 먹는 것에 익숙해지고 본인들도 실제로 그런 음식을 별다른 생각 없이 과하게 먹는 습관이 들어버리고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푸짐해야 잘 먹었다고 생각하므로 먹는장사를 하는 분들도 양에서는 인심이 후한 편이다. 음식 자체의 문제도 있지만 그런 음식을 절대량 많이 먹는다는 것은 어쩌면 가장 심각한 문제가 아닐까 싶다. 

 

당연히 음식물쓰레기도 늘어난다. 모든 사람이 이렇게 많이 먹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음식물쓰레기가 늘어나면 그것에 대한 처리 비용이 늘고 사회적 비용이 추가되면 세금이 늘어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즉, 먹방이 좀 더 확대하여 해석하면 국민 건강과 세금이 늘어나는 것에 또 더 나아가 환경에 문제를 일으키는 영향력을 지녔다는 것이다. 

 

중국 사람들은 맛으로 먹고, 일본 사람은 눈으로 먹고, 한국 사람들은 배로 먹는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그런데 가만 살펴보면 지금 돌아가는 사태를 보면 크게 다르지 않은 말이 아닌가도 싶다. 이제는 좀 먹방도 질의 시대로 넘어가야 하지 않나 싶다. 

 

재미있는 것은 그런 질을 위해 노력하는 프로그램도 유튜버도 블로거도 있건만 아직은 주목받지 못하는 것 같다. 언젠가는 쌓여있는 음식에 질식해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것인가? 아니면 그렇게 미디어가 만들어가야 할까?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그것이 문제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