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카페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문만 무성했던 아리랑도원 최근 수도권 외곽에 많이 생기고 있는 대형 베이커리 카페들이 카페들이 오픈을 하면서 동영상을 기반한 무수한 마케팅을 하고 있다.그래서 짧으면서 임팩트 있는 소개 영상이 수많은 영상거지들을 통해확산되고 있어서, 누구나 쉽게 타임라인에서 만날 수 있다.그런 영상 중 하나가 바로 아리랑도원이었다.영상들은 하나같이 대단해 보였다.그런데.. 이게 문제인듯.. 영상과 현실이 다르다면... 사실 카페는 진입하는 도로부터 시작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진입하는 도로는 나쁘지 않았지만, 주차장 시설부터가 난해하다..그냥 공터에 주차장을 조성한 느낌이다. 무언가 정갈하게 정리가 된 느낌이 아니다.그리고 러시타임에는 주차하기도 쉽지 않다.하여간 우여곡절 끝에 주차를 하고 들어간 아리랑도원.시그니처 같은 바 뒷편 벽의 조.. 갤러리 같은 흑유재, 양평 카페 정말 놀랄 일이다. 나는 서울 외곽, 경기도 지역에 이렇게 큰 카페들이 많은 줄 몰랐다. 규모도 규모이고, 개성도 만점이고 거기에 사람도 어마어마하게 많다. 커피를 파는 카페가 아니라 일종의 휴식이 있는 그럼 쉼터 같은 느낌이다. 양평에서 멋지게 칼국수를 먹고 찾아간 카페 주차장도 넓고, 카페 건물은 갤러리 같은 느낌 바로 흑유재이다. 흑유재 바로 옆에 자체 주차장이 있어 주차하기는 편하다. 주차를 하고 건너가면 흑유재 입구인데 자갈이 깔려 있고 검은돌이 마치 작품처럼 전시되어 있다. 돌길을 걸어 들어가면 입구가 나온다. 입구를 들어가면 검은색과 흰색의 대비가 펼쳐진다. 주로 검은색이 베이스가 된 인테리어라서 들어가면 마치 영화관에 들어가는 느낌이다. 이걸보면 여기가 카페인지 아닌지 구분이 안된다. 보통.. 다름이 아닌 같음 무이숲 카페, 여주 여주 이천 부근에 카페들이 꽤 늘었다. 모두 유명세를 기반으로 하는 카페인데 오늘 소개하는 무이숲은 사회적 가치가 있는 대형 카페라도 조금 남다르다. 장애인 지원 전문 공익단체인 푸르메재단이 장애인을 위해 써달라고 기부받은 땅에 무이숲을 만들었다고 한다. 발달장애인 전문시설 중 잘알려진 곳은 강화에 있는 우리마을이 있다. 이곳도 직업재활시설로 숙소와 함께 콩나물 공장이 있다. 그 콩나물 공장에서 나오는 콩나물은 풀무원이 전량 매입하고 있고 우리는 풀무원 콩나물로 만날 수 있다. 이곳 무이숲도 그런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장애, 비장애의 경졔없이 모두가 함께 어울리는 공간을 만든다는 취지로 무이숲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무이(無異)라는 뜻은 다름이 아닌 같음을 뜻한다. 숲이 그렇다는 뜻. 숲..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