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예전에는 제도권에서 만들어지는 뉴스가 사회적 아젠다를 세팅하는 힘이 있어서 모든 여론이 제도권 뉴스에 의해 움직였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제도 언론에 의해 일방적인 여론이 결정되는 그런 우습던 시대가 아니죠.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다양성과 변화가 심한 새로운 소통의 시대로 접어든 지금은 사람들의 소통 방식의 기반이 크게 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변화의 시대에 제도권에서 만들어지는 뉴스는 신문과 방송을 통해 제작/확산되고 공중들은 대략 포털 등의 인터넷을 통해 그 뉴스를 접촉하고 있습니다. 반면, 여론은 주로 게시판이나 블로그를 통해 만들어지고 확산되는 경우가 많죠. 게시판은 집단적인 여론의 추이를 블로그는 개인의 경험과 생각들을 잘 읽어낼 수 있는 유용한 소통의 장으로 조금씩 자라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제도권 신문에서 온라인의 블로그를 헐뜯거나 하찮게 치부하는 듯한 기사를 심심찮게 발견하게 됩니다. 제가 본 것만 해도 한겨레 신문의 기사 하나와 조선일보 기사 두 꼭지였습니다. 제가 조금 민감한 것일 수도 있지만 아래 기사를 한번 보시면 그 공통점을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한겨레] 블로그의 음식점 평가는 대부분 수준이 낮다는 기사
[조선일보] 알바와 블로거를 애매하게 비교하며 은근 저평가한 기사
[조선일보] 블로거의 글을 비극이라고 평가한 칼럼
관점에 따라 조금씩 느끼는 점은 다르겠지만, 위에 있는 기사의 중요 구절에는 블로그 기사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 교묘하게 깔렸습니다. 물론 <안 그런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라는 교묘한 말장난을 하면서 피할만한 문장을 배치하긴 했지만 그래도 블로거의 기사에 대한 제도 언론의 평가는 영 서푼 짜리 오페라 축에도 못 낀다는 느낌을 버릴 수가 없습니다. 제도권 기자 중 안 그런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이 혹시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즉, 조중동을 떠나서 모든 제도 신문 기자들이 가진 보편적 의식이 아닐까라는 생각 말입니다.
블로그의 진정한 가치는 자유와 경험의 소통
제도권 신문 기자의 보편적 의식에는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지워버릴 수 없습니다. 솔직히 블로그 기사와 신문 기사를 비교하는 것도 웃기죠. 조금 극단적으로 비교 한다면 마치 프리미어 선수와 조기축구회 선수를 비교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지 않느냐는 생각도 듭니다.
블로그는 개인 미디어일뿐입니다. 인터넷에서 좀 더 많은 사람과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솔직히 많은 사람이 신문과 같은 기존 미디어의 독단적 의제 설정과 논조를 거부하고 블로그나 게시판을 더 신뢰하게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기자가 느끼는 수준 낮은 온라인 글은 어찌 보면 보통 사람의 눈높이가 아닐지…. 고매한 수준의 글이 실제 먹어보고 음식점의 서비스를 경험해본 사람의 음식 사진 한 장 혹은 경험담 속에 녹아들 수도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콘텐츠를 통해 다른 블로거들과 경험이 공유되고 댓글을 통해 소통할 수 있기에 블로그와 매체는 분명히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기자들이 블로그를 깎아내리고 낮게 보아도 블로그가 가진 공유와 자유스러운 소통의 정신은 따라오지 못할 겁니다. 그 자유를 서로 존중하며 진화하는 블로그를 꼭 제도권 언론의 입장에서 비교하거나 평가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리고 기자들에게 기사 쓰는 것만큼 블로그도 열심히 해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블로거를 무서워할 필요 없습니다. 그냥 먹고살기 위해 죽으라고 기사 쓰는 거 말고 정말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소통하는 블로그를 한번 해본다면 블로그.. 그거 매력 있다고 느낄 겁니다. 그때는 기사에 저렇게 비아냥거릴 필요가 없어지겠죠. ^^
그런 변화의 시대에 제도권에서 만들어지는 뉴스는 신문과 방송을 통해 제작/확산되고 공중들은 대략 포털 등의 인터넷을 통해 그 뉴스를 접촉하고 있습니다. 반면, 여론은 주로 게시판이나 블로그를 통해 만들어지고 확산되는 경우가 많죠. 게시판은 집단적인 여론의 추이를 블로그는 개인의 경험과 생각들을 잘 읽어낼 수 있는 유용한 소통의 장으로 조금씩 자라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제도권 신문에서 온라인의 블로그를 헐뜯거나 하찮게 치부하는 듯한 기사를 심심찮게 발견하게 됩니다. 제가 본 것만 해도 한겨레 신문의 기사 하나와 조선일보 기사 두 꼭지였습니다. 제가 조금 민감한 것일 수도 있지만 아래 기사를 한번 보시면 그 공통점을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한겨레] 블로그의 음식점 평가는 대부분 수준이 낮다는 기사
[조선일보] 알바와 블로거를 애매하게 비교하며 은근 저평가한 기사
[조선일보] 블로거의 글을 비극이라고 평가한 칼럼
관점에 따라 조금씩 느끼는 점은 다르겠지만, 위에 있는 기사의 중요 구절에는 블로그 기사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 교묘하게 깔렸습니다. 물론 <안 그런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라는 교묘한 말장난을 하면서 피할만한 문장을 배치하긴 했지만 그래도 블로거의 기사에 대한 제도 언론의 평가는 영 서푼 짜리 오페라 축에도 못 낀다는 느낌을 버릴 수가 없습니다. 제도권 기자 중 안 그런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이 혹시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즉, 조중동을 떠나서 모든 제도 신문 기자들이 가진 보편적 의식이 아닐까라는 생각 말입니다.
블로그의 진정한 가치는 자유와 경험의 소통
제도권 신문 기자의 보편적 의식에는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지워버릴 수 없습니다. 솔직히 블로그 기사와 신문 기사를 비교하는 것도 웃기죠. 조금 극단적으로 비교 한다면 마치 프리미어 선수와 조기축구회 선수를 비교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지 않느냐는 생각도 듭니다.
블로그는 개인 미디어일뿐입니다. 인터넷에서 좀 더 많은 사람과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솔직히 많은 사람이 신문과 같은 기존 미디어의 독단적 의제 설정과 논조를 거부하고 블로그나 게시판을 더 신뢰하게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기자가 느끼는 수준 낮은 온라인 글은 어찌 보면 보통 사람의 눈높이가 아닐지…. 고매한 수준의 글이 실제 먹어보고 음식점의 서비스를 경험해본 사람의 음식 사진 한 장 혹은 경험담 속에 녹아들 수도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콘텐츠를 통해 다른 블로거들과 경험이 공유되고 댓글을 통해 소통할 수 있기에 블로그와 매체는 분명히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기자들이 블로그를 깎아내리고 낮게 보아도 블로그가 가진 공유와 자유스러운 소통의 정신은 따라오지 못할 겁니다. 그 자유를 서로 존중하며 진화하는 블로그를 꼭 제도권 언론의 입장에서 비교하거나 평가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리고 기자들에게 기사 쓰는 것만큼 블로그도 열심히 해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블로거를 무서워할 필요 없습니다. 그냥 먹고살기 위해 죽으라고 기사 쓰는 거 말고 정말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소통하는 블로그를 한번 해본다면 블로그.. 그거 매력 있다고 느낄 겁니다. 그때는 기사에 저렇게 비아냥거릴 필요가 없어지겠죠. ^^
728x90
반응형
'세상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재후기] 가슴 뭉클했던 체험 2008 장애청소년 IT챌린지 대회 (14) | 2008.06.18 |
---|---|
아련한 옛 추억을 살려준 인디아나 존스4 (13) | 2008.06.14 |
버시바우 대사의 통상과학론에 대해 (4) | 2008.06.04 |
6월의 시작, 자전거 새벽 라이딩 (12) | 2008.06.02 |
아무나뉴스데스크를 아십니까? (6) | 2008.05.30 |